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The Big Apple ; New York's nickname #뉴욕의 별명 #뉴욕을 빅애플이라 부르는 이유 #빅애플의 유래
- The origin of the name San Francisco #샌프란시스코의 어원
- get out #get over with get through#
- The origin of Sunday #일요일의 어원
- kinfolk #킨포크 #가까운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며 느리고 여유로운 자연 속의 소박한 삶을 지향하는 현상
- The origin of the name Washington #워싱턴의 어원
- The Origin of Curry #카레의 기원 #카레
- The Origin of Saturday #토요일의 어원 #사트로누스 #농업의 신 #Saturn
- The origin of Friday #금요일의 어원 #Norse goddess Frigg #Roman goddess Venus
- The origin of the name Broadway #브로드웨이 어원
- The LA Dodgers #류현진 #박찬호 #로스엔젤레스 다저스 LA다저스
- White House #백악관
- Canapes #카나페 #카나페의 유래 #핑거푸드
- The history of New York #뉴욕의 어원 #뉴욕의 역사
- The origin of jackpot #잭팟의 어원
- The origin of the name Las Vegas #라스베가스의 어원
- New Year's Eve traditions #세계 각국의 새해 전야 전통
- The Origin of Cake #케이크의 기원
- The origin of Fortune Cookie #포츈쿠키의 기원
- The New Year sunrise in Korea #한국의 새해 해맞이 전통 #해맞이 명소 #일출을 보면서 다가올 해에 대한 꿈과 희망을 기원
- The Origin of Los Angeles #로스엔젤레스 어원
- 各自圖生 #제각기 살아나갈 방법을 꾀함 #각자도생
- The origin of Thursday #목요일의 어원 #Donnerstag #Jovis dies #Donar의 날 #Thor
- What is a canyon? #협곡 #그랜드캐년
- The history of the sandwich #샌드위치의 역사 #샌드위치 백작 #샌드위치
- The origin of LA갈비 #LA갈비의 유래
- The Origin of cotton Cotton Candy #솜사탕의 유래
- Bagel City #New York is known as the "Bagel City" for three reasons #뉴욕베이글
- The 22nd solar term #동지 #Dongji #winter solstice #Dongji Patjuk #a red bean porridge #Saturnalia
- New Year's resolution #새해 결심
- Today
- Total
갱년기 아줌마의 영어놀이
Hangul 본문
오늘은 한글날, 역시 휴일이다.
주중 휴일은 오늘로 안녕~
주말 외의 휴일이 없는 정직한 11월은 너~~~무 길 것만 같다 ㅜㅜ
다음은 한글에 대한 설명이다~
Hangul is the writing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Created in the 15th century, it is a unique and ingenious script designed to represent the sounds of spoken Korean accurately. Hangul's develoment is attributed to King Sejong the Great and his team od scholars, who aimed to improve literacy among the Korean population.
15세기에 만들어진 한국어 문자체계인 한글은 한국어의 소리를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고안된 독특하고 뛰어난 문자로 백성들의 문해력 향상을 위한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의 노력의 산물이다.
Hangul consists of 14 basic consonants and 10 basic vowels. Each character represents a specific sound, and they are
combinded to form syllables. This logical design makes it relatively easy to learn and use, even for those who are not native speakers of Korean.
한글은 14개의 기본 자음과 10개의 기본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글자는 특정 소리를 나타내며, 이들은 음절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한다. 이러한 논리적 설계로 한국어 원어민이 아닌 사람들에게도 비교적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
Hangul consists of 14 basic consonants and 10 basic vowels. Each character represents a specific sound, and they are combined to form syllables. This logical design makes it relatively easy to learn and use, even for those who are not native speakers of Korean.
한글은 14개의 기본 자음과 10개의 기본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글자는 특정한 소리를 나타내며, 이들은 음절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다. 이러한 논리적 설계는 한국어 원어민이 아닌 사람들도 한글을 비교적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게 한다.
One of the key strengths of Hangul is its ability to adapt to the Korean language's intricate phonetic structure. It can express a wide range of sounds and nuances, allowing for precise communication. Unlike many other scripts, Hangul is not base on ideograms or complex characters, which makes it accessible to a broader audience.
한국어의 주요 강점 중 하나는 한국어의 복잡한 음성 구조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로써 다양한 소리와 뉘앙스를 표현할 수 있어 정확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다른 많은 문자들과는 달리, 한글은이상기호난 복잡한 글자에 기반하지 않기에 좀 더 폭 넓은 대중이 접근가능하다.
The creation of Hangul was a significant step in the preservation of Korean culture and language. Before Hangul's introduction, Classical Chinese caracters were primarily used for written communication, making literacy a privilege limited to the elite. Hangul democratized access to education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moting literacy and fostering a sense of national identity.
한글의 창조는 한국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는 중요한 단계였다. 한글이 등장하기 전에는 글쓰기에 주로 고전 중국 문자(한자)가 사용되어 문해력은 엘리트에게만 허용되는 특권이었다. 한글은 교육 접근성을 대중화하고 문해력을 증진시키며 국민정체성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In recognition of its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Hangul has been design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 remains an essential part of South and North Korean societies, used in all aspects of life, from official documents and literature to everyday communication. Hangul's enduring legacy as an elegant, phonetic script continues to shape and define Korean culture and identity in the modern world.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인정 받아, 한글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고, 이는 공식 문서, 문학부터 일상 소통 까지, 남북한 사회의 모든 측면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한글은 우아하고 음성적인 문자로서의 영구한 유산으로 현대 세계에서 한국의 문화와 정체성을 형성, 정의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가 빠지다 (25) | 2023.10.11 |
---|---|
Story Time - give (16) | 2023.10.10 |
동사의 활용은 영어 학습의 지름길 - give (4) | 2023.10.08 |
hate something with a passion (10) | 2023.10.07 |
Story Time - have (12) | 2023.10.06 |